알림 · 홍보

음식소비가 폭염에 의해 끌어올려짐, 4~6월 GDP 연 2.2% 증가로 상향 수정.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5-09-09
첨부파일

내각부가 8일 발표한 4~6월기 국내 총생산(GDP) 개정치가 크게 상향수정됨. 연율로 2%를 넘는 성장률이 됨. 빠르게 찾아온 더위가 사람들의 외식수요를 환기해 개인소비 속보치를 넘어섬. 7~9월기는 미 관세 정책의 영향이 눈에띄고 성장률은 마이너스 예상이 우세함.

4~6월기의 GDP 개정치는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외한 실질치가 전기대비 0.5% 증가했는데, 이 성장 페이스가 1년 지속된다고 가정했을 때 연율환산이 2.2% 증가 였다. 815일 발표의 속보치(0.03% 증가, 연율 1.0%증가)로 실체경제의 강도가 반영된 숫자가 됨.

명목 성장률은 속보단계의 연율 5.1%증가에서 6.6% 증가로의 커다란 상향수정이 됨. 물가상승이 GDP를 밀어올리는 데에도 기여해, 명목 GDP는 연율 635조엔으로 과거 최고를 갱신함. 명목 GDP의 커다란 성장은 기업의 매출 증가를 가져와, 2025년도의 세수도 올라갈 가능성이 나오고 있음.

성장률 상승에 기여하는 것은 GDP의 과반을 차지하는 개인소비임. 실질적으로 속보단계의 전기대비 0.2% 증가로부터 0.4% 증가까지 증가폭이 커짐.

요인은 더위에 따른 외식의 활성화임. 총무성의 [서비스산업 동태총계조사]에서 4~6월기의 음식점의 매상은 전년 동기대비 7.7% 증가였음. 폭염에 대응한 기간한정 메뉴의 판매가 호조였다고 함. 민간조사에서는 차가운 면이나 맥주 등의 판매 동향이 좋아, 더위에 소비자의 절약의지가 약해진 것 같다고 보고있음.

4~6월기의 성장률에서 경기가 예상 이상으로 강하게 반영되어 낙관만 해서는 안됨. 4~6월기의 개인소비의 증가는 증가율 계산의 비교대상이 되는 1~3월기의 하방수정 영향도 있기 때문.

내각부는 이번 개정치를 합친 1~3월기의 성장률은 8월 공표시점의 전기대비 0.2% 증가로부터 0.03% 증가로 수정함. 1~3월기의 증가율도 8월 공표시점의 전기대비 0.2% 증가로부터 0.3% 증가로 수정함. 1~3월기는 반대로 외식이 감소했음. 전기의 숫자가 감소하면 당기의 성장은 커짐. 4~6월기의 민간재고는 GDP의 상승에 효과를 발휘함.

소니 파이낸셜그룹의 미야지마 타카유키 씨는 본격회복의 조짐으로 보는 것은 성급하다.”고 지적한 뒤, 경기는 제자리걸음이라는 견해를 바꾸지 않았다.

개정치 발표를 바탕으로, 일본경제신문이 민간 이코노미스트 10명에게 7~9월기의 GDP성장률을 물은 결과, 예상 평균은 전기대비 0.4% 감소, 연율로 1.7% 감소가 됨. 만일 1.7% 감소가 된다면, 237~9월기 이후의 저성장률이 됨.

4~6월기의 상상 이상으로 견고했던 개인소비는 7~9월기 예상 평균이 0.2% 증가에 그쳐. 물가상승에 따른 실질 임금의 안정적인 상승이 아직 기대하기 어려워 소비의 증가는 이어지지 않고, 7~9월기에는 제자리 걸음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다이이치생명 경제연구소 신케 요시타카 씨)라는 견해가 두드러진다.

미국관세정책의 영향도 점점 더 뚜렷해질 예상. 7~9월기는 수출이 전기대비 1.6% 감소의 예상이었음. 다이와 종합연구소의 쿠마가이 아키마루씨는 미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재화의 수출을 중심으로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

기업의 설비투자도 증가세가 둔함. 예상평균은 전기대비 0.2%로 작은 증가에 머무를 예정. 미관세 정책에 따르면 4~6월기는 일부 업종의 수익이 압력을 받고있는 것이 설비투자의 둔화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음.

이시바 시게루 수상이 퇴진 표명에 따라, 물가 상승 대책에 따른 경제대책은 더욱 예상이 어렵게 됨. 이코노미스트로부터 소비 마인드의 개선을 위한 임금의 계속적인 증가, 물가나 정국의 안정이 필요하게 됨. (미쓰비시 UFJ 리서치&컨설팅 고바야시 신이치로 씨), ”임금 인상이나 생산성 향상을 뒷받침하는 기업 대상의 장기적인 시책도 중요하다.“ (노무라증권 모리타 교헤이 씨)라는 주문이 나오고 있음.

기사 및 이미지 출처 : 9월 9일 닛케이 신문(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A081GZ0Y5A900C2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