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의 교역
1. 외교관계
- 1882.05.22. 조·미 우호통상항해조약 체결
- 1949.01.01. 미국, 대한민국 정부 공식 승인
2. 공관현황
- 상주 대사관(1949.03.25 설치), 9개 총영사관 및 4개 출장소
3. 교역 현황 및 주요 품목 (’24)
- 수출액 : 1157억$
- 수입액 : 713억$
- 수출품목 : - 자동차, 자동차 부품, 산업용 기계 등
- 수입품목 : - 원유, 반도체 제조용 장비, LPG 등
4. 교민현황
- 약 262만명('23)
5. 인적교류 현황 (’23)
- 방미 : 약 160만명
- 방한 : 약 101만명
6. 무역수지
- 미국은 한국과의 무역에서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2024년 기준으로 미국의 대한국 무역적자는 약 66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9.2% 증가.
7. 주요 수출입 품목
- 한국의 대미 수출: 주요 품목으로는 자동차 및 부품, 기계류, 전자제품 등이 있음.
특히 자동차 산업은 2024년 한국의 대미 수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의 약 50%가 미국으로 향했음.
8. 대미 수출 품목 및 금액

주요인사 교류현황
주요인사 교류현황
<방한>
- - 2013.04. 케리 국무장관
- - 2013.12. 바이든 부통령
- - 2014.02. 케리 국무장관
- - 2014.04. 오바마 대통령
- - 2015.05. 케리 국무장관
- - 2015.07. 바이든 부통령 영부인
- - 2017.03. 틸러슨 국무장관
- - 2017.04. 펜스 부통령
- - 2017.11. 트럼프 대통령
- - 2018.02. 펜스 부통령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 - 2018.02. 이방카 보좌관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
- - 2018.06. 폼페오 국무장관
- - 2018.10. 폼페오 국무장관
- - 2019.06. 트럼프 대통령
-
- 2021.03.
블링컨 국무장관
(제5차 한미 외교·국방 2+2 장관회의) - - 2022.05. 바이든 대통령
- - 2022.09. 해리스 부통령
- - 2023.11. 블링컨 국무장관
- - 2024.03. 블링컨 국무장관
- - 2025.01. 블링컨 국무장관
<방미>
- - 2019.03. 강경화 외교부장관 (워싱턴)
- - 2019.04. 문재인 대통령
- - 2019.09. 문재인 대통령 (유엔총회 참석)
- - 2020.01. 강경화 외교부장관 (샌프란시스코)
- - 2020.11. 강경화 외교부장관 (워싱턴)
- - 2021.05. 문재인 대통령
- - 2021.09. 문재인 대통령 (유엔총회 참석)
- - 2021.09. 정의용 외교부장관 (유엔총회 참석)
- - 2022.02. 정의용 외교부장관 (호놀룰루)
- - 2022.06. 박진 외교부장관 (워싱턴)
- - 2022.09. 윤석열 대통령 (유엔총회 참석)
- - 2023.02. 박진 외교부장관 (뉴욕, 워싱턴)
- - 2023.04. 윤석열 대통령
- - 2023.08. 윤석열 대통령
- - 2023.09. 윤석열 대통령 (유엔총회 참석)
- - 2023.09. 박진 외교부장관 (유엔총회 참석)
- - 2023.11. 윤석열 대통령 (APEC 참석)
- - 2023.11. 박진 외교부장관(APEC 참석)
- - 2024.02. 조태열 외교부장관(뉴욕, 워싱턴)
- - 2024.06. 조태열 외교부장관(뉴욕)
- - 2024.07. 윤석열 대통령 (NATO 정상회의 참석)
- - 2024.09. 조태열 외교부장관(유엔총회 참석)
-
- 2024.10.
조태열 외교부장관
(제6차 한미 외교·국방 2+2 장관회의)